글쓴이 이름: 펜타네스트

img 5
Apps

다목적 웹 기반 파일 매니저 AList 구축하기

개요 FileBrowser, FileGator 등은 대표적인 웹 기반 파일 매니저입니다. 이러한 웹 기반 파일 매니저는 기기나 운영체제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큰 제약 없이 접근하기 좋은 서비스입니다. 그 외에도 유료로 돌아서버린 FileRun이나, UI가 어수선하지만 성능은 좋은 Copyparty도 있죠. 이러한 웹 기반 파일 매니저들은 노리는 수요층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추구하기 때문에, 조금 쓰다 보면 이 앱은 어떤 […]

img 4
Nextcloud

Nextcloud 계정 생성 시 초기 파일 수정하기

개요 Nextcloud 구축 후 새로운 계정을 생성할 때마다 아래처럼 필요없는 파일들이 왕창 생성됩니다. 해당 파일들을 제거하는 것과 Readme.md를 수정하여 신규 사용자에게 안내할 내용을 기입하는 등의 작업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기본 배포 파일 위치 초기 계정 생성 시 배포되는 파일의 위치는 Nextcloud경로에서 /core/skeleton에 있습니다. 이 곳의 파일을 모두 삭제하면 신규 계정

img
Kubernetes

Kubespray를 이용하여 K8S 클러스터 업그레이드 하기

개요 최초 Kubespray글을 작성했을 때의 쿠버네티스 버전은 1.29.5였습니다. Kubespray도 2.26으로 업데이트 되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 1.30.4로 클러스터를 업데이트 해 보겠습니다. 제 환경은 아래와 같습니다. Ansible 전용 VM 1대 + Master 노드(VM) 3대 + Worker 노드(VM) 3대 모든 OS는 Rocky Linux입니다. Kubespray 업데이트 현재 Kubespray버전은 2.26입니다. 패치노트에서 지원하는 쿠버네티스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30.4버전 기본화 및

img 2
Nextcloud

Cloudflare Tunnel 환경에서 Nextcloud 구성 시 오류 해결하기

개요 Nextcloud 초기 설치 이후 관리자 설정으로 진입하면 해결해야 할 오류들을 친절하게(?) 띄워줍니다. 일부분은 Nextcloud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몇몇 오류는 리버스 프록시에서 해결해줘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클플 터널을 사용할 경우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간단하게 서술해 보겠습니다. HSTS 활성화하기 오류 메세지 확인 아래와 같은 문구가 출력됩니다. The “Strict-Transport-Security” HTTP header is not set to at

img 3
Homeserver

Supabase database 백업하기

개요 오라클 클라우드와 Supabase를 이용하여 Teldrive를 구축하고 잘 사용하던 중, DB에 문제가 생기면 올려놓은 파일에 접근하기 힘들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DB백업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적어놓고자 합니다. 윈도우에서 백업하기 DBeaver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아래처럼 PostgreSQL을 선택한 뒤, Supabase에서 Host, User, Database명등을 가져와 기입하면 됩니다. 접속에 필요한 Host, Database, Username, Password 4가지의 정보는 아래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DBeaver에서 Database를

img 2
Apps

고스트로 블로그 구축하고 워드프레스 마이그레이션하기

개요 워드프레스 사용 중 불편함을 느껴 블로그를 고스트로 이전했습니다. 마이그레이션 과정을 가이드 형식으로 작성해 보겠습니다. 고스트 공식 가이드에서는 뚝딱 하면 순식간에 이루어지는 것처럼 써져있는데, 실제론 트러블슈팅 그 자체 였습니다 =ㅅ=. Docker로 고스트 설치하기 고스트는 docker compose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설치 후엔 url에 입력한 IP:8080로 접속하면 됩니다. 최초 접속 시 초기설치로 인해 잠시 아래와 같은

image 25
Apps

오라클 클라우드에 Jellyfin으로 나만의 넷플릭스 구축하기

개요 보통 ‘나만의 넷플릭스 구축기’라고 하면 Plex가 유명합니다. 그러나 Plex는 Plex Pass가 없다면 하드웨어 트랜스코딩 기능을 사용할 수 없어 트랜스코딩 시 CPU사용률이 치솟는다는 점과 모바일에서 시청할 때 별도로 어플을 구매해야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Jellyfin은 오픈소스로서 모든 기능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lex만큼 UI가 미려하진 않지만,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img 3
Apps

오라클 클라우드와 Teldrive로 서버 없이 무제한 클라우드 사용하기

개요 구드 무제한이 사라지고 Dropbox에서 팀을 꾸려 사용하는 무제한 클라우드들도 일정 사용량이 넘어가면 안내 메일을 받는 등, 온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제한’클라우드는 이제 거의 없다고 봐야 합니다. 말은 무제한이라고 하는 Opendrive도 실제로 일정 용량 넘어가면 속도 제한을 심하게 걸고 파일을 삭제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죠. 단순한, 클라우드 사업 자체만으로는 수지가 맞지 않기 때문에 당연한 수순이기도 합니다.

108 img
TrueNAS

TrueNAS 부팅 안될 때 자동백업파일 추출하기(2)

개요 얼마 전 TrueNAS의 boot-pool에서 백업파일을 추출하는 글을 작성한 적이 있습니다. TrueNAS 부팅 안될 때 설정파일 추출하기(1) 그러나 해당 글을 통해 추출한 파일은 기초설정만 살아있는 파일로, share 목록 등은 건져내지 못합니다. 이번 글은, TrueNAS에서 매일 자동 백업되는 설정파일을 추출하는 글입니다. 추출 환경 준비하기 우분투를 사용할 수 없는 이유 이전 글은 우분투를 사용했지만, TrueNAS 24버전 기준에 맞게,

97 img
Apps

워드프레스 이미지 클릭 시 확대 기능 자동활성화하기

개요 워드프레스로 글을 작성할 때, 이미지를 삽입하게 되는데, 해당 이미지의 속성에서 Expand on Click이 있습니다. 해당 속성을 활성화해주지 않으면, 글을 읽는 사람은 이미지가 작아 클릭해 확대하려고 해도 확대가 되지 않죠. 모든 글을 하나하나 눌러서 해당 속성을 활성화하는 건 좀… 무리이기도 해서, 저는 워드프레스 파일을 수정해서 강제 활성화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해당 방법을 적어보겠습니다. theme.json 파일 수정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