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server

img 9
Homeserver

픽셀 없이 Proxmox, Bliss OS를 이용해 구글 포토 무제한 백업하기

개요 제 방엔 지금도 24시간 돌아가고 있는 프랑켄 픽셀이 한 대 있습니다. 버라이즌 판이 아니라서 루팅이 가능한 소중한 기기죠 ㅎ_ㅎ.. 상시 충전기에 꽃아두고 발열때문에 작업이 더뎌질까 뒤에 팬도 붙여주고.. 노예 치고는 최상급의 대우를 해주고 있지만, 주기적으로 배가 불러오는 건 어쩔 수가 없었습니다. 배터리 최고 충전비율을 제한하거나, 스마트 플러그를 써서 충전시간을 제한하거나.. 해도 어쩔 수가 없었죠. […]

img 6
Homeserver

리눅스 부팅 시 Rclone 자동 마운트하기

개요 제목이 좀 직관적이지 않네요 ㅎ_ㅎ… 리눅스로 네트워크 저장소(SMB, NFS 등)을 부팅 시 마운트하기 위해서는 보통 /etc/fstab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구글 드라이브, Baidu 등의 클라우드 같은 저장소를 연결하긴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Rclone이 많이 사용되고 있죠. 그런데, Rclone은 /etc/fstab을 이용할 수 없고 Systemd를 통해 부팅 시 자동 마운트가 되도록 구성해도 도커 컨테이너의 실행이

img 3
Homeserver

Supabase database 백업하기

개요 오라클 클라우드와 Supabase를 이용하여 Teldrive를 구축하고 잘 사용하던 중, DB에 문제가 생기면 올려놓은 파일에 접근하기 힘들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DB백업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적어놓고자 합니다. 윈도우에서 백업하기 DBeaver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아래처럼 PostgreSQL을 선택한 뒤, Supabase에서 Host, User, Database명등을 가져와 기입하면 됩니다. 접속에 필요한 Host, Database, Username, Password 4가지의 정보는 아래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DBeaver에서 Database를

717 img
Homeserver

Rocky Linux 9.4에 TigerVNC Server 설치하기

개요 원래 XRDP를 더 선호하긴 하는데 이상하게 Rocky에서는 XRDP세션 종료되고 나면 로컬 화면이 먹통이 되어버리는 이상한 종특이 있어서(아직 해결 못함) VNC를 설치해서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사용하는 이유는 VM을 Proxmox가 아니라 TrueNAS위에 구성했기 때문입니다. TrueNAS가 VM Console을 위해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는 SPICE는 점유율이 낮아 좋다고 알려져 있긴 한데, 추가 패키지를 설치하지 않으면 복사-붙여넣기도 일방향만 되는 문제도 있고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