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cloud

img 4
Nextcloud

Nextcloud 계정 생성 시 초기 파일 수정하기

개요 Nextcloud 구축 후 새로운 계정을 생성할 때마다 아래처럼 필요없는 파일들이 왕창 생성됩니다. 해당 파일들을 제거하는 것과 Readme.md를 수정하여 신규 사용자에게 안내할 내용을 기입하는 등의 작업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기본 배포 파일 위치 초기 계정 생성 시 배포되는 파일의 위치는 Nextcloud경로에서 /core/skeleton에 있습니다. 이 곳의 파일을 모두 삭제하면 신규 계정 […]

img 2
Nextcloud

Cloudflare Tunnel 환경에서 Nextcloud 구성 시 오류 해결하기

개요 Nextcloud 초기 설치 이후 관리자 설정으로 진입하면 해결해야 할 오류들을 친절하게(?) 띄워줍니다. 일부분은 Nextcloud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몇몇 오류는 리버스 프록시에서 해결해줘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클플 터널을 사용할 경우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간단하게 서술해 보겠습니다. HSTS 활성화하기 오류 메세지 확인 아래와 같은 문구가 출력됩니다. The “Strict-Transport-Security” HTTP header is not set to at

457 img
Nextcloud

TrueNAS에 Nextcloud 29버전 업데이트 시 Dataset 재설정하기

개요 얼마 전 Nextcloud Hub 8 (29.0.0)이 발표되면서, TrueNAS 공식 카탈로그 앱 이미지도 계속해서 마이너 업데이트 중입니다. 이 중 변경점으로 userdata를 분리하면서, Storage구성 시 변경점이 발생하여 짧게 글을 작성합니다. 이 외의 부분은, 기존 글과 동일하게 설치를 진행하면 됩니다. Data와 Userdata분리 Hub 7 (28.x 버전)까지는 기본적으로 3개의 dataset을 요구했습니다. 원래는, Data가 저장되는 곳에 각 user가 업로드한

368 img
Nextcloud

TrueNAS + Nextcloud 업데이트 시 ‘명령줄 업데이터를 사용하세요.’ 대처법

개요 최근 사용중인 Nextcloud의 업데이트를 미루다가 한 번에 몰아서 하고 나니 아래같은 메세지를 받았습니다. 심지어 문서를 눌렀더니 해당 내용이 아닌 nextcloud wiki메인페이지로 보내버려서 하나하나 찾아봐야 합니다(짜증). 아무튼 해결해봅시다. 문제의 원인 Nextcloud의 config.php파일에 이런 문구가 있습니다. 이게 바로 문제의 ‘브라우저를 통한 업데이트’ 기능을 차단한다는 문구인데, TrueNAS의 카탈로그를 통해서 설치하면 기본으로 셋팅되어 있습니다. 단순히 지우거나 False로 변경하면

img 3
Nextcloud

Nextcloud에서 Office문서 편집하기

개요 제가 시놀로지를 사용하면서 편하다고 느꼈던 앱 중 가장 좋았던 건 시놀로지 오피스(Synology Office)였습니다. 시놀로지 드라이브(Synology Drive)와 하나처럼 엮여서 자료를 동기화하고, NAS에서 바로 파일을 열어 편집하고 저장하고 다시 클라이언트로 동기화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외부에서 급하게 문서요구를 받았을 때 아주 쏠쏠했죠.(사실 초창기 시놀로지 드라이브는 동기화를 빙자하면서 멀쩡한 파일 날려먹기 일쑤였음) Nextcloud에서도 Collabora를 통해서 이와 똑같은 환경을

269 img
Nextcloud

Redis로 Nextcloud 성능 끌어올리기

개요 구글에서 Nextcloud를 검색해보면 나오는 많은 글들 중 하나가 Nextcloud가 원래 이렇게 느리냐? 입니다. 제 사용환경에서는 그렇게까지 느리다곤 생각되진 않긴 하지만, PHP로 작동되는만큼 태생의 한계가 있어 빠릿함과는 거리가 멀긴 합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Redis를 설치해 Nextcloud에 캐시를 달아 성능을 올리는 방법을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드라마틱하게 성능이 향상되진 않지만, 버벅임이 줄었음을 체감할 수 있을 정도의 성능

img 1
Nextcloud

TrueNAS에 Nextcloud 사용하기

개요 TrueNAS는 오픈소스NAS OS중에서는 가장 강력하지만, 유저편의적인 부분은 많이 부족합니다. 특히, 개인 조립NAS를 헤놀로지로 입문한 경우, DSM의 높은 편의성 덕분에, TrueNAS를 다루는 것에 엄청난 벽을 느끼게 되고, 이내 적응하지 못한 채 떠나버리게 되죠. 이런 부분을 그나마 커버하기 위해 TrueNAS 안에는 여러 도커 이미지를 활용한 Apps기능이 있고, 이를 통해 부족한 부분을 메꾸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