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ueNAS

image 83
TrueNAS

TrueNAS를 이용해 가상화 환경에서 헤놀로지 구동하기

개요 얼마 전 올렸던 글에서 Proxmox에서 TrueNAS를 ZFS over iSCSI스토리지로 연결하여 헤놀로지(Xpenology)를 구성하는 법을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Proxmox에서 TrueNAS의 ZFS를 이용해 헤놀로지 안전하게 사용하기 윗 글은 Proxmox를 이용해 다수의 VM을 편리하게 관리하면서도 헤놀로지를 구성하고 싶은 경우에 적합한 경우이고, 이번 글은 네이티브 TrueNAS위에 헤놀로지를 VM으로 구성하는 방법입니다. 사실상 TrueNAS에서 VM을 굴리는 글인 셈이죠. 기존의 방법과 비교 시 […]

img 12
TrueNAS

TrueNAS 네트워크 가상브릿지 구성하기

개요 네트워크 브릿지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보통은 bond를 구성하고 그 위에 브릿지를 구성해 사용하게 됩니다. 그런데, TrueNAS를 처음 설치하면 NIC에 바로 DHCP를 잡아주도록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용자의 경우 별도의 네트워크 브릿지 설정 없이 바로 NIC를 다이렉트로 사용하게 됩니다. 아래 예시 사진처럼요. 딱히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TrueNAS에 VM을 구성하고 VM과 TrueNAS 간 통신이 되려면

img 11
TrueNAS

Proxmox에서 TrueNAS의 ZFS를 이용해 헤놀로지 안전하게 사용하기

개요 헤놀로지(xpenology)는 가정용 NAS를 구축하려는 분들에게 가장 먼저 고려되는 OS중 하나입니다. 잘 만들어진 시놀로지 생태계를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 친화적인 UI로 학습 곡선도 다른 NAS OS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그러나, 정확한 이유를 알 순 없으나, 어쩌다 파티션이 깨지고, 어쩌다 볼륨 충돌이 일어나고 하면서 제 개인적인 경험으로도 약 3~4번의 데이터 유실을 경험했습니다. SHR이라는 소프트웨어 레이드를 사용하다

108 img
TrueNAS

TrueNAS 부팅 안될 때 자동백업파일 추출하기(2)

개요 얼마 전 TrueNAS의 boot-pool에서 백업파일을 추출하는 글을 작성한 적이 있습니다. TrueNAS 부팅 안될 때 설정파일 추출하기(1) 그러나 해당 글을 통해 추출한 파일은 기초설정만 살아있는 파일로, share 목록 등은 건져내지 못합니다. 이번 글은, TrueNAS에서 매일 자동 백업되는 설정파일을 추출하는 글입니다. 추출 환경 준비하기 우분투를 사용할 수 없는 이유 이전 글은 우분투를 사용했지만, TrueNAS 24버전 기준에 맞게,

57 img
TrueNAS

TrueNAS 부팅 안될 때 설정파일 추출하기(1)

개요 멀쩡히 물리적으로 분리했던 TrueNAS를 다시 Proxmox로 통합하다가, 부팅디스크 이미지 파일에 결함이 생겼는지, “middleware is not running. Press Enter to open root shell”에러가 뜨면서 부팅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journalctl로 살펴보니 단순한 오류도 아니었기 때문에, systemctl restart middlewared, service middlewared restart 따위로는 해결되지 않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TrueNAS를 클린설치하고 기존 부팅디스크에서 설정파일을 추출(recover)해와서 살려보겠습니다. 기존

img 1
TrueNAS

TrueNAS에서 Plex 설치하고 외장 그래픽카드로 트랜스코딩하기

개요 Plex Media Server는 모르는 분이 없을 정도로 개인 미디어 라이브러리 구축에 있어서는 유명한 프로그램입니다. 네이티브로 OS위에 바로 설치할 수도 있고, 도커로도 운용할 수 있죠. 저는 스토리지 서버로 TrueNAS를 사용 중이고, 모든 미디어 파일을 TrueNAS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이 파일들을 이용할 땐, Dataset을 SMB공유로 끌어가서 사용하는 편입니다. 그.런.데. 원래는 한 개의 서버를 운용하고 있었고, TrueNAS도 Proxmox내부의

img 4
TrueNAS

TrueNAS SCALE Dragonfish 24.04 주요 변경점

개요 TrueNAS SCALE 24.04(Dragonfish) 업데이트가 릴리즈 된 지 조금 됐는데, 사용중인 실서버 업데이트 후 눈에 띄는 주요 변경점(유저 사이드)을 간략하게 소개해보겠습니다. 주요 변경점 간편해진 공유(SMB/NFS) 생성 아래처럼 Dataset을 생성할 때 바로 SMB Share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원래는 Dataset 생성이후 Share->메뉴를 통해 두 번의 절차를 거쳐야 했는데, Dataset 생성 과정에서 바로 설정할 수 있게 바뀌었습니다. 마찬가지로

image 24
TrueNAS

라즈베리파이와 TrueNAS로 레트로 게임(Batocera) 즐기기

개요 Batocera는 여러 기종의 에뮬레이션을 통해 에뮬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해주는 게임용 Linux입니다. x86 PC뿐만이 아니라 ARM계열의 여러 보드에까지 설치할 수 있는데, 그 중 라즈베리파이도 해당됩니다. 이 글에선 라즈베리파이에 Batocera를 설치해 구동해 볼 예정입니다. 인터넷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가이드는, SSD/HDD를 라즈베리파이에 외장으로 연결하고 Batocera에서 SMB를 열어 롬파일을 집어넣는 방식인데, 이 글에서는 이와 다르게

위로 스크롤